어제 조맨친 민주당 상원의원이 바이든 대통령의 2조 달러 규모 build back better에 반대 의견을 언급했습니다. 공화당도 아닌 민주당 의원인 조맨친의 반대로 파급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크리스마스 전에는 통과시키려고 했던 build back better 정책의 기대감이 떨어지면서 어제 골드만삭스는 미국 성장률 전망치를 일제히 하락시켜서 발표했고, 우리나라에서는 삼성sdi, lg화학등의 주가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lg화학 주가는 추세를 완전 이탈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상 lg화학은 물적분할 이후로 lg에너지솔루션을 상장시킴으로써 배터리 회사가 아니고 그냥 화학회사가 되어버리긴 했죠. 그런데도 어제 이렇게 빠진 건...
그나저나 물적분할 이건 진짜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됩니다. 주주들이 lg화학을 화학주로 산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대부분 2차전지 관련주로 샀을테고 저고 19년부터 가장 좋아했던 2차전지 관련주였는데, 지금은 삼성sdi만 가지고 있고 lg화학은 진작에 다 정리했습니다.
삼성 sdi는 간신히 추세 하방 부근에서 버티는 모습입니다.
그나마 삼성sdi는 순수 배터리 회사로서 주가가 버티고는 있는데 2차 전지 양극재의 랠리에 비하면 여러 가지 대외 악재와 수급 요인들과 같이 얽히면서 전혀 못 오르고 있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연말을 이제 좀 조용히 마무리 하나 하는 시점에서 나온 build back better 정책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뀌고 거기에 지금 유럽은 바이러스로 다시 한번 난리가 난 상황입니다. 지난번 영국의 확진자 급증에 이어서 이번에는 네덜란드까지 재확산세로 내년 1월 14일까지 전국을 봉쇄한다고 합니다. 이 부분도 다시 한번 경기에 영향을 줄 거라는 불안한 심리가 어제 한꺼번에 반영이 되었다고 보입니다.
백신을 2차 3차까지 다 맞은 사람들의 감염률이 높습니다. 우리나라도 보니까 10명 중 4명의 확진자가 부스터 샷까지 맞은 사람들이라 이제는 정말로 그냥 자체 면역이 생성되도록 감기와의 싸움을 멈추는 게 낫지 않나 생각이 들 정도네요. 별로 더 얘기하고 싶지도 않은 부분입니다. 아무튼 시장 투자자들은 이제 바이러스 공포는 크게 연연하지 않을 겁니다.
정말 전에 언급드린 거처럼 오미크론 독성이 델타 보다 높다고 한다면 이야기는 조금 달라지겠지만요. 그래도 좀 더 길게 보면 크게 달라질 건 없습니다.
build back better 정책 실망감으로 삼성sdi와 lg화학에 대한 얘기를 좀 더 할까 했는데 사실상 별로 할 얘기가 없는 게 우리나라는 델타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이 못 올랐습니다. 더군다나 미국이 내년에 금리를 3번 올린다는 내용까지 벌써 나왔고 지금 환율은 거기에 다 반영이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계속 말씀드렸듯이 금리를 올려야 올리는 거라고 했습니다. 저기서 만약에 금리를 1~2번만 올린다거나 하면 당연히 미국 달러는 내려가면 내려갔지 더 올라갈 일이 없으며, 이 외에도 시장의 특별한 큰 악재 없이는 미국은 계속 약 달러 정책을 지속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제 중국이 지속적인 성장률 둔화에서 이제는 마지노선을 건드리고 있는 상황이라서 부양책을 강하게 펴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 아주 많죠. 안 그래도 달러가 약해지면 이머징이 강해지는데 중국 부양책으로 달러 약세를 더욱 가속화시키면? 그래서 저는 내년은 한국이 미국보다 더 좋을 거라고 보고 있는 겁니다. 지금 먼저 맞은 부분들도 올라가고 눌려있던 부분의 시세가 폭발하면서 더욱 크게 튀어 오르길 기대하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조맨친 얘기하려다가 거의 쓸데없는 얘기만 하고 있네요~ 아무튼 저는 내년은 한국을 더 좋게 보고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저의 뇌피셜이니까 참고만 해주세요~ 시황 얘기는 할 말이 많지만 천천히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삼성sdi, lg화학 조맨친 build back better 반대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탑스 실적도 좋은데 이제 주가 점프업? (1) | 2021.12.23 |
---|---|
마이크론으로 시작 된 반도체소부장 이오테크닉스 이제 날아오르나? (0) | 2021.12.22 |
아이티엠반도체 중형 대형 배터리 보호회로 진출 (전자담배) (0) | 2021.12.21 |
펀더멘털과 금리인상 그리고 골디락스 (한미 통화스와프 종료) (0) | 2021.12.20 |
탑엔지니어링 카메라모듈 스마트폰 판매 회복과 자율주행 그리고 메타버스? (0) | 2021.12.19 |
댓글